식품소비 트렌드에 대응한 생산 및 판매 시스템 갖춰야
한국인의 식품소비 트렌드는 외식 비중 확대, 건강 중시, 맛 지향, 간편화 추구 등 뚜렷
식품소비가 양에서 품질 중심으로 전환되었으며, 식품비 지출에서 외식비 비중이 식료품비의 절반 가까운 수준으로 확대되고 건강 및 기호식품 비중이 증가하였다. 외식 지출비중은 1990년 20%에서 2006년 46%까지 증가하여 일본의 29%(2006년), 미국의 44%(2005년)보다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식품류별로는 곡류, 육류, 어패류 등의 지출비중이 감소내지 정체한 반면 과일류, 빵 및 과자류, 차·음료·주류 등은 증가하였다.
서울시 621가구를 대상으로 소비자 설문조사를 한 결과 쌀은 10k대 이하의 소포장 단위의 소비가 증가하고, 저가 및 고가 쌀의 소비비중이 확대되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월 소득 500만원 이상의 가구에서는 20kg당 5만5000원 이상 고가 쌀 구입 비중이 27%인 반면, 월 소득 200만원 미만 가구 중 34.7%는 4만5000원 이하의 쌀을 구입했다.
국내산 쇠고기는 등급별·부위별 가격차가 확대되는 등 고급화로 차별되었으며, 미국산 쇠고기에 대해서 구입할 의사가 있는 소비자 비율도 2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고기와 닭고기 구입 이유를 조사한 설문에서 돼지고기는 50.7%, 닭고기는 33.6%의 소비자가 맛 때문이라고 응답했으며 닭고기의 경우 30.9%의 소비자가 영양가가 높아서 구입했다고 응답했다.
채소류는 친환경인증제품 구입비중이 높아 건강 지향 트렌드가 뚜렷하며, 연령층이 낮은 주부층을 중심으로 세척 및 절단제품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간편화 지향이 나타난다. 과일류는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 확대로 가정 내에서 소비가 가장 빠르게 증가한 식품류이다. 저농약인증을 중심으로 친환경인증제품을 구입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과일을 즐기는 성향을 보인다.
영양소 섭취 트렌드는 동물성 식품 섭취 증가와 계층간 영양 섭취 격차의 확대
곡류 소비가 감소하고 육류 등 동물성 식품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단백질 중에서 동물성 단백질 비중이 1980년 28.7%에서 2005년 42.4%로 크게 확대되었다. 1인 1일당 지방 섭취량도 같은 기간 동안 21.8g에서 2005년 46g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가구수입이 낮을수록 전반적으로 영양소 섭취 수준도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절대빈곤층은 에너지 섭취량도 섭취 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을 보였다. 또한 65세 이상 노인 연령층은 에너지 섭취 기준의 81.5%만을 섭취하고 있었으며 단백질도 77.4%로 섭취 기준에 크게 못 미쳤다.
직장인과 청소년층에서 상당수가 불규칙한 식생활, 청소년 국산 농산물 인식 취약
직장인(307명)과 청소년(304명) 대상 설문조사결과 직장인의 35.8%, 청소년의 46.1%만이 매일 아침밥을 먹고 있으며, 전혀 먹지 않는 경우도 직장인 21.5%, 청소년 13.5%에 달하였다.
직장인들의 절반정도(49.6%)가 저녁식사를 불규칙적으로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연령이 낮고 소득이 낮은 집단일수록 불규칙적인 식생활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 계층에 비해 블루칼라 계층이 불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청소년의 절반 정도(43%)는 저녁식사 시간이 불규칙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주된 이유는 학원을 가야하기 때문(46.6%)이었다. 청소년들은 밖에서 식사를 사먹을 경우 주로 분식점(38.2%), 편의점(17.4%), 패스트푸드점(15.3%)을 이용하고 있었다.
청소년의 경우 절반 정도인 47%가 국산 농산물 섭취에 관심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19%만이 국산 농산물을 원료로 한 식품에 대해 관심을 표시했다.
이계임 연구위원은 “앞으로 소비자의 트렌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쌀의 경우 차별화된 시장공략, 육류는 품질차별화 확대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제품 생산과 품질 관리 강화, 채소 및 과일류는 친환경제품과 소포장 및 세척·절단제품 개발 등에 힘써 수요 확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저소득계층, 고령층, 청소년층 등 특정계층을 세분화하여 소비정책이 수립되어야 하며, 식품소비 업무를 종합적으로 관장하는 정부조직 개편과 정책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